윤현희

부산 가는 KTX 안. 저마다의 사연 있는 생(生)이 기차에 실려 어디론가 가고 있다. 어떤 이는 목적지에 미리 도착한 듯 눈빛이 환하고 어떤 이는 대충 묶은 짐짝처럼 허술하니 지쳐 보인다. 오늘 나는 어떤 생, 어떤 표정으로 여기 앉았는가? 치매로 입원 중이던 엄마가 뇌경색으로 의식이 없다는 연락을 받고 황급히 나선 걸음, 엄마가 기적처럼 깨어나시길 간절히 염원하며, 더딘 기차를 원망하고 있다.

나는 막내딸이자 둘째며느리다. 엄마가 치매로, 시어머님이 뇌졸중으로 입원하기 전까지는 착한 딸이고 효심 깊은 며느리였다. 엄마는 막내딸집에 두세 달에 한 번씩 다니러 오시면 1~2주일씩 쉬다 가셨고, 시어머님은 딸 같은 며느리가 해주는 것은 뭐든 다 맛있고 다 좋다고 칭찬해주셨다. 남편 혼자 벌어서 아들 셋 키우는 살림살이라 두 분께 비싼 외식이나 좋은 옷, 두툼한 용돈은 자주 해드리지 못했다. 대신, 햇살 좋은 앞마당에 매운 고추 널어 말리듯 당신들이 살아온 맵고 고된 삶을 맘껏 펼쳐놓을 수 있게 함께 맞장구치고 추임새도 넣으며 수다판 벌리기를 즐겨 했다. 가끔은 내가 푼수데기인 양 남편 흉을 보고 시시콜콜한 얘기를 우스꽝스럽게 해대면 두 분은 여름날 활짝 핀 참나리꽃처럼 붉고 환하게 웃으셨다. 그랬던 두 어머님이 약속이나 한 듯 병원에 입원해 계시는 지금 나는 졸지에, 내 의지 너머에서 벌어지는 이 상황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심한 딸이고 무능력한 며느리가 되고 말았다. 습관처럼 나를 찾는 두 분 곁을 지키지 못하는 죄송함을 ‘자식 노릇보다 엄마 노릇이 먼저다’고 자기 합리화하며 일상을 버텼다.

엄마의 치매가 쓰나미처럼 덮쳐왔다면 시어머님의 뇌졸중은 벼락처럼 꽂혔다. 작년 여름, 시어머님이 위중하시던 3주 동안 한시도 곁을 떠나지 못했다. 며느리 목소리 듣고 행여 깨어나실까, 수시로 말을 걸고 몸을 닦고 주물러드리면 어머님은 의식이 없는 중에도 눈가에 눈물이 흘렀다. 어머님의 눈물에 배인 슬픔이 환히 보여서 자주 휘청거렸지만, 어머님을 돌보는 나는 웃고 나를 보지 못하는 어머님은 울었다. 시어머님의 병원생활이 18개월로 접어든 지금, 꾸준한 재활훈련으로 더디지만 조금씩 좋아지고 계시기에 이제 한 시름 놓았다, 했더니 오늘 부지불식간에 친정엄마의 소식이 전해졌다. 시어머님을 감쌌던 슬픔의 비늘이 엄마에게 고스란히 옮겨가 버린 것 같아서 황망하기 그지없다.

눈 떠 보니, 병상이다                                                                                            어제까지의 삶을 길바닥에 버려두고                                                                       누추함만 들려와 오늘 여기 누웠구나                                                                      산마루에 숨어있던 寒波가 마을로 침투한 저녁,                                                         파장 앞 둔 오일장 생선 가게로 잰걸음 내딛다

꽈꽝!!                                                                                                              예고 없이 폭발한 내 머릿속 빅뱅                                                                              심장을 관통하는 공포                                                                                          하얗게 뒤집어진 몸.                                                                                             눈 뜨는 게, 고역이다                                                                                           한 때, 해 달 별을 품고서 팽창했던 몸이                                                                   늙은 대추처럼 꾸깃꾸깃 졸아들어                                                                           욕망도 부끄러움도 사라져 버렸구나                                                                       절대 안정, 빨간 이름표로 침묵하는 병상에                                                               슬픔의 비늘만 가지런히 누웠다                                                                             어떤 몸부림도 없이                                                                                            어떤 서러움도 없이                                                                         

아,                                                                                                                  다정했던 것들은 모두 어디로 흘러가고                                                                    비린내 나는 눈물만 고이는가?

- 윤현희, <슬픔의 비늘>

부산에서 아픈 엄마를 뵙고 온 지 5일 만에 내려가는 기차 안. 염치없지만 또 한 번의 기적을 간절히 바라는 중에, 다시는 엄마가 내 이름을 불러주지 못할 거라는 생각이 들자 왈칵 눈물이 쏟아진다.

5일 전, 엄마는 내가 병실에 들어서자 “해니야~” 곧바로 불러주셨다. 50년 넘게 셀 수 없는 “해니야”를 들었지만, 기억을 잃어가는 엄마가 불러주는 “해니야~” 한 음절의 밀도와 질감은 비교불허, 최상급이다. 1분도 채 지나지 않아 “니가 누꼬?” 다시 묻는 엄마 앞에서 해니는 열 살이 되었다가 스무 살도 되고 지훈이 엄마도 되었다. 몇 살이라도 상관없는 막내 딸년 해니는 그저 엄마가 좋아서 엄마 뺨을 비비고 뽀뽀하고 젖가슴을 주물러대지만, 울보 엄마는 금세 눈물이 흥건해졌다.

엄마는 내 이름을 단 한 번도 제대로 불러준 적이 없었다. 엄마에게 “현희”는 듣는 이름이었지 부르는 이름은 아니었다. 학교에 와서 날 찾을 때도 해니였고, 친척들에게 인사 시킬 때도 해니였고, 아파서 병원에 가도 해니였다. 내가 가끔씩 막내딸 이름을 정확하게 한 번만 불러달라고 요구하면 “핸.희.”한 음절씩 또박또박 말하고서 금방 “해니야~”하고 불렀다. 학창시절엔 그렇게 듣기 싫었던 해니가, 이젠 아픈 엄마가 불러주는 해니가 서럽도록 고마워서 엉엉 울고 말았었다.

쏜살같이 달리는 기차 밖 을씨년스런 가을 풍경이 서럽다. 덜컹이는 기차 안에서 좌불안석, 엄마가 깨어나시길 기도하며 맞잡은 두 손도 함께 울먹울먹한다. ‘엄마, 엄마, 이젠 해니야~ 안 불러줘도 괜찮아. 다 괜찮으니까 제발 깨어나. 응? 엄마가 내게 아무 걱정도 하지마 라고 했잖아. “꽃 핀다고 내가 핀 적 없으니, 꽃 진다고 내가 질 일도 없다” 했잖아. 엄마, 엄마 말 믿어도 되는 거지? 진짜 걱정 안 해도 되는 거지? 나랑 약속한 거 꼭 지켜야 해, 응? 그러니 꼭 깨어나, 엄마!!’

저작권자 © 전국도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